m.kukinews.com/newsView/kuk202010150468#_enliple
[기획] 2030시선 끄는 카카오發 핀테크… 은행권 디지털금융 열풍
▲ 카카오뱅크 (사진=연합뉴스) [쿠키뉴스] 유수환 기자 = IT(정보기술)의 진화와 바이러스 여파로 인해 디지털금융으로 불리는 핀테크(금융과 IT의 결
www.kukinews.com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는 신용대출 시장에서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에 이어 업계 3위로 부상했다.
모바일 금융화가 일상 속에 자리잡으면서 금융 시장을 잡으면 그와 연결된 쇼핑, 결제데이터, O2O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금융업에서도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핀테크 트렌드가 떠오르며 각 금융업체에서 더 편리한 경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중 오프라인 영업점 없이도 치고 나가고 있는 카카오뱅크를 BP(Best Practice)로 케이스스터디를 하고 싶어 위 기사를 읽었다.

카카오뱅크는 2030이용자들이 전체 고객들 중 65%를 차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가 갖고 있는 강력한 무기는 은행업무에 그치지 않고 증권 계좌 개설 서비스, 카드 제휴 서비스 등을 연계하여 금융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라 기사는 말하고 있다. 또한 2030유저들이 금융에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로또추첨과 비슷한 럭키볼, 매주 저축금액이 증가하는 26주적금, 동전 잔돈을 저금하는 저금통 기능 등이 예시이다. 더하여 카카오만이 가지고 있는 캐릭터를 활용해 디자인한 카드상품과 앱UI가 귀여움에 한몫을 더하는 것 같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도 네이버의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자 네이버통장과 같은 CMA통장 서비스 등을 출시하고 있는데, 라인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을 펼쳐보아도 좋을 것 같다.
시중은행의 디지털 가속화 사례로 인상깊었던 것은 기사에서 소개하고 있는 하나은행의 '하나원큐신용대출'이다. 작년 6월, 금융 디지털화 선도의 일환으로 모든 대출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여 비대면으로 처리한 것이 특징이다.
'마케팅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뉴스] 2020 코리아세일페스타 시작 (11.1~11.15) (0) | 2020.11.01 |
---|---|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코리아 2021 소비자마케팅 살펴보기 (0) | 2020.10.20 |
[유통업계 뉴스 분석] 2030 골린이들의 등장 : 골프웨어에 집중 (0) | 2020.10.14 |
[유통업계 뉴스 살펴보기] 배달/배송의 속도경쟁 시대가 왔다 (키워드 : 초단기, 극신선) (0) | 2020.10.01 |
굿즈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