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인사이트 12

2021년엔 유튜브의 모든 영상에 광고가 붙는다

http://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68내년부터 유튜브 모든 영상에 광고 붙는다 - CIVIC뉴스내년부터 유튜브 모든 영상에 광고가 붙을 전망이다. IT업계에 의하면, 유튜브는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포함되지 않은 채널의 동영상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도록 최근 서비스 약www.civicnews.com 유튜브가 내년 2021년부터 광고게시 정책을 바꿀 예정이다. 바로 모든 영상에 광고가 재생될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까지 유튜브는 YPP 가입기준을 넘지 못해서 수익을 얻지 못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겐 광고를 넣지 않았다. *YPP란? 유튜브 영상에 광고를 넣음으로써 수익창출이 가능한 프로그램. YPP에 가입하기 위해선 일정 기준을 넘..

외식/유통업계의 유튜브 웹예능 제작 진출

http://naver.me/FcjXTiul외식·유통업계, 유튜브의 예능 채널 변신 '눈길'[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모바일 채널에서 제작되는 웹예능이 기발한 앞광고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외식·유통업계의 유튜브 채널도 과거와는 달리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n.news.naver.com 👆🏻 현재 '자체 제작' 웹예능 콘텐츠가 트렌드 1) 맘스터치 - 터치플레이 (스포츠) 2) 롯데주류 - 클라우드 맥주클라쓰 (직장인 에피소드) 3) 티몬 - 쑈트리트 파이터 (실시간 라이브커머스) 4) 편의점CU - 씨유튜브 (씨알템, 도연이네 편의점, 극한고객만족) 5) 하이트진로 - 두껍이즈백

[미디어뉴스]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게요!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20_0001031548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요금인상 우려 vs 경쟁 활성화"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통신요금 이용약관인가제(요금 인가제)가 30년 만에 폐지된다 www.newsis.com '통신요금 이용약관 인가제'를 '유보신고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2020년 5월 2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통과됐다. '요금 인가제'는 이동통신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가입자 1위)인 SKT에서 기존 요금제의 가격을 인상하거나, 새 요금제를 출시할 경우 정부로부터 인가를 받는 제도였다. 이 제도가 30년만에 '유보신고제'로 바뀜에 따라, 앞으로 SK텔레콤은 새로운 요금제를 낼 때 KT, LG U+와 마찬가지로 과학..

K-POP, K-BEAUTY를 이어 한류열풍을 견인할 K-CONTENTS (K콘텐츠의 OSMU전략)

국내 양대 포털 카카오·네이버의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지’와 ‘네이버 웹툰’이 IP(Intellectual Property · 지적재산권) 기반 사업에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한다. 각 회사의 오리지널 콘텐츠(웹툰과 웹소설)를 기반으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것과 동시에,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는 입장이다. http://www.bloter.net/archives/377201 네이버웹툰・카카오페이지, IP 사업 “쏠쏠하네” 국내 양대 포털 네이버·카카오 자회사인 네이버웹툰과 카카오페이지가 웹툰 IP 기반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로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 www.bloter.net 나에게 하루를 마무리할 때, 침대에 누워 가장 먼저 ..

유튜브에 대항하는 네이버의 행보 (네이버블로그수익/네이버TV/인플루언서검색)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796 네이버, 유튜브 '따라가나' 했는데...품었다? [디지털투데이 유다정 기자] 바야흐로 유튜브 전성시대. 네이버가 검색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며 반격에 나섰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각종 SNS 채널을 가지고 있는 인플루언서들의 '홈' www.digitaltoday.co.kr '요즘 애들은 검색을 유튜브로 한다며?'라는 말이 들린지 오래다. 유튜브가 고속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창작자에게 확실한 수익을 담보해줬기 때문이다. 많은 콘텐츠들이 유튜브로 몰릴수록 이용자(구독자)도 증가하면서, 유튜브의 생태계는 더욱 활성화됐다. 이를 의식한 탓인지 네이버는 올해부터 창작자의 보상을 강화하겠다는..

[미디어 이슈] SK브로드밴드 vs 넷플릭스 망 사용료 논쟁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35234&code=11151400&cp=nv [망 사용료를 두고 불붙은 넷플릭스 vs SK브로드밴드, 과연 승자는?]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가 망 이용료와 관련해 SK브로드밴드를 상대로 소송에 나서 국내 통신사 및 콘텐츠회사(CP)간 분쟁이 다시금 일어나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의 활성화로 인터넷 망에 대한 부하가 급증하는 가운데, 콘텐츠사업자들이 망 사업자에게 비용을 지급해야 하는지가 주요 논쟁이다. 방통위가 작년 11월부터 일찍이 양측의 분쟁을 조정하고 있었지만, 이를 무시하고 넷플릭스가 법적 대응에 나섰다. 최근 넷플릭스와 유튜브 같은 OTT서비스를 시청할 때, 영상 로딩이 오랜..

사람들이 닌텐도 게임 동물의 숲 시리즈에 열광하는 이유

2017년을 뜨겁게 달군 증강현실(AR)게임 ‘포켓몬고(Poketmon Go)’로 대박을 터뜨렸던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가 금번에는 ‘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출시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대박났어요 동물의 숲’으로 불리고 있는 해당 게임의 인기 덕에 닌텐도는 9년만에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닌텐도의 영업이익은 총 41%나 늘어 4조원까지 끌어올렸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여파로 ‘집콕족’이 대다수인 시기에 출시되며 인기가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 추가로 ‘동물의 숲’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콘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까지 날개 돋친 듯 팔려 나가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품귀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

가상현실 VR이 가져올 미래 진단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42721&ref=A 비대면 속 ‘혼합현실(AR+VR)’ 뜬다…실감 넘는 ‘초실감’ [앵커]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대면 생활' 이 일상이 됐는데요. '비대면'의 거리감, 답답함을 극복하기 위... news.kbs.co.kr 글로벌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비대면 생활이 점차 익숙해지면서, 콘텐츠 업계에서는 VR과 AR이 합쳐진 혼합현실 바람이 새로이 불고 있다. 미국의 유명가수 마돈나가 홀로그램 무용수를 활용한 무대를 예시로, 국내에서도 생물체를 360도로 카메라가 인식하는 3D기술이 고도로 성장했다. 특히 이러한 기술은 5G 테크놀로지가 발달한 덕에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사실 VR과 AR의 기술은 등장 초기 관심..

신용카드 결제데이터가 말해주는 디지털콘텐츠 이용량 변화

http://newsroom.hcs.com/front/board/798/k_s/view.do 디지털 영상서비스 3년새 9배로 성장, 음악서비스 2배 수준으로 증가해 - 현대카드·현대캐피탈 �� 현대카드 결제데이터로 살펴본 확 달라진 디지털 콘텐츠 라이프 -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뉴스룸 newsroom.hcs.com 현대카드 뉴스룸이 Data Analytics팀과 지난 3년 간 디지털콘텐츠 서비스업체 10곳의 결제데이터를 분석했는데, 음악·영상·도서 분야의 결제금액이 2.6배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결제건수 역시 수직 증가해 3배 이상으로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콘텐츠를 ‘디지털’ 형태로 소비하는 시장이 급격하게 확장되고 있다는 뜻이다.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커지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중이지만 현대카..

코로나 시대 속 Zoom과 엔터테인먼트의 결합 (언택트 술자리)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새로운 트렌드를 생성하고 있다. 바로 화상채팅 플랫폼인 줌과 관련한 “Zoom Culture”이다. 현재 줌은 화상 회의 및 강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가격리로 인해 외출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모여 엔터테인먼트를 즐기는 장이 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각자 음료(술)와 음식을 준비하여 노트북 화면속으로 건배를 외치기도 하며, 재택 클럽파티 문화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크게 유행 중이다. www.etoday.co.kr/news/view/1938407 ‘사회적 거리두기’에 2030세대 ‘랜선 술자리’ 유행…“화상회의로 회식해요” ▲이동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랜선 술자리가 서로 연결돼있기를 원하는 '소속감' 욕구로부터 기인한다고 본다. (게티이미지뱅크)대학생 박주..